중위소득 개념과 가구수에 따른 소득 기준

 중위소득은 소득 분포에서 중간에 위치한 값으로,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한가운데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. 이는 소득이 가장 많은 상위 50%와 가장 적은 하위 50%를 나누는 기준이 됩니다. 중위소득은 주로 정부의 복지 정책에서 지원 자격 기준으로 사용됩니다.


중위소득 개념과 가구수에 따른 소득 기준
중위소득 개념과 가구수에 따른 소득 기준



2024년 기준 중위소득 및 가구별 소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
2024년 기준 중위소득 (월 소득)

가구원 수중위소득 (100%)30% (생계급여)40% (의료급여)50% (주거급여)60% (교육급여)120% (청년특례)
1인 가구2,440,000원732,000원976,000원1,220,000원1,464,000원2,928,000원
2인 가구3,930,000원1,179,000원1,572,000원1,965,000원2,358,000원4,716,000원
3인 가구5,080,000원1,524,000원2,032,000원2,540,000원3,048,000원6,096,000원
4인 가구6,210,000원1,863,000원2,484,000원3,105,000원3,726,000원7,452,000원
5인 가구7,310,000원2,193,000원2,924,000원3,655,000원4,386,000원8,772,000원
6인 가구8,300,000원2,490,000원3,320,000원4,150,000원4,980,000원9,960,000원

중위소득의 활용

중위소득은 다양한 복지 정책의 소득 기준으로 활용됩니다. 예를 들어:

  • 생계급여: 중위소득 30% 이하인 가구에 지원.
  • 의료급여: 중위소득 40% 이하인 가구에 지원.
  • 주거급여: 중위소득 50% 이하인 가구에 지원.
  • 교육급여: 중위소득 60% 이하인 가구에 지원.

중위소득의 계산 방법

중위소득은 매년 통계청에서 조사한 가계금융복지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됩니다. 가구 규모, 지역별 물가, 경제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준이 결정됩니다.

다음 이전